우리 삶인 유교이야기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 삶인 유교 이야기<?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우리가 유교를 이야기하는 것은 물고기가 물이 무엇인지, 새가 공기가 무엇인지 몰라 서로 이야기 하는것과 같읍니다.
우리네 삶양식이 유교 자체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옷이 외부에서 온 문화, 종교, 철학등 이라면 유교는 우리 몸에 행되여 오늘날 삶의 모든 것입니다. 지금은 유교 사상은 점점 사라져 가는 추세입니다.
유교뿐만 아니라 불교, 도교는 동아시아 인들 삶에 자리를 잡고 있읍니다. 동양에서는 종교를 배척 하지 않읍니다. 유일신을 믿는 서양종교는 배타적인 성격인 반면 동양종교(유,불, 선,도)서로 어울려 가면서 영 향을 주며 변화하고 있읍니다. 유교를포함한 동아시아의 종교 및 사상은 공통적으로 도, 음양,점괴 효사상, 하늘, 귀신, 조상숭배 등 의 기본 사상을 가지고 있읍니다.
유교는 창시자는 당연 공자(BC 551-479)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과 동시대 인물입니다. 가르침의 지침서는 공자가 사망후 제자들과 나눈 내용을 역은 “논어”을 중심으로 후에 써진 “대학, 중용, 맹자”
4서가 있으며 이외에도 공자가 편집 했다는 ‘서경,시경, 예기, 역경,춘추’ 오경이 있읍니다. 이들을 사서오경 이라 합니다.
논어는 노자의 도덕경과 함게 동아시아 사상에 가장 영향을 준 책으로 알려졌읍니다. 각서경의 내용 설명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어 생략 하겠읍니다.
공자의 기본 가르침은 정직과 예의를다룬 인은 논어에서 가장많이 나오는 단어이고, 이익의 이 와 대조적 의미인 의, 인간관계에서의 충과서 즉 남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말하며, 임금이면 임금답게 신하면신하답게 이름값을 하라는 정명 이 기본 가르침 입니다.
공자의 맥을 이은이는 당연 맹자(BC440-360) 입니다. 맹자하면 “맹모삼천지교" 라는 말이 생각 나고 성선설 이 그의 대표사상인데 , 사람은 태어날때 네가지(사지) 성향을 기지고 태어난다 합니다. 1) 연민을 느끼는 마음, 2) 실수나 잘못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3) 양보하는 마음, 4)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을 가지는데 이네가지 마음을 개발하면 인의예지 덕성이 형성되고 성인에 이르는 길이라 하였읍니다. 성인이되면 자유러워 호연지기가 된다는 설입니다.
맹자의 뒤를 이은 제자는 순자로 성악설로 유명함니다. 순자사상은 진시황 과 모택동에게 영향을 많이 주었읍니다.
이후 당나라 시대까진 는 불교와 도교가 유행했던 터라 각광을 받지 못하다 송나라 시대(960-1279년) 접어 들면서부터 유교 부흥운동이 일어나 기존의 불교와 도교 와 어울려 새로운 거대한 사상이 구축되는대 이것이 바로 신유학 또는 성학 입니다.
성학은 이론을 중요시하는 이학과 마음을 중요시 하는 심학으로 나누는데 이학은 주자학이라고도 하고 심학은 양명학이라고도 함니다. 명나라 말기부터 청나라시대까지 너무 이론에 지나침에 회의를 느껴 실학파 가 등장합니다.
신유학은 성인이 되는 8 가지 길을 “대학”이라는 책에서 보여 주는데 격물(사물을 궁구함), 치지(앎을 극대화함),성의(뜻을 성실히함), 정심(마음을 바르게함), 수신(인격을 도야함),제가(집안을 꾸림), 치심(사회를 지도함), 평천하(세상을 평화롭게함) 을 말함니다.
한국에서는 이조시대에 배불 정책으로 유교를 중국에서 받아 건국시 부터 사상 이념으로 삼아 이조 500년간 지속 되었으며 이학(성리학) 이 주를 이루었으며 심학 은 빛을 보지못했읍 니다. 이학파(성리학) 의 대가는 이퇴계, 이율곡 등입니다. 이조시대 성리학 대가들은 이와 기의 관계를 밝히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읍니다.
한나라시대에 들어서 공자를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한무제는 국학으로 지정 하기까지 했었읍니다. 후에 약화되여 공자를 높은 스승 정도로 생각했다. 서양 문물 문명이 동양에 전해지면서 신유학은 약화히기시작 1949 공산당이 중국본토를 지배하자 유교활동이 정지되으며 1966녀 문화혁명 당시는 공자상이 비판의 표적이 공자동상이 파괴 되기도 했읍니다.
한국 조선시대에는 청나라보다 오히려 유교사상에 충실했었으나 조선의 종말과 함께 국가 차원에서의 유교는 막을 내리고 사회종교의 일부로 남아있읍니다. 우리의 일상의 생할은 누가 무어라 해도 유교적인 삶 입니다. 이조 500년의 생활상이 하루 아침에 변화 하겠읍니까. 지금 우리느 기독교등 타종교인 일지라도 실제 생활에 있어서는 유교 인이 라고 생각 됩니다. 중국에서 시작한 유교사상은 중국에는 "충"의 색갈로, 한국에서는 "효"의 색갈로 일본에서는 "화"의 색갈로 짓게 남아 있읍니다.
간락하게 줄거리만 이야기 하였읍니다.
사서오경, 대학 등에서 상세한 내용을 찾으시기 바람니다. 동양 사상, 철학을 글로 표현하지면 한자 타자실력 있어야 하는데 어야하는데
제능력이 여기까지 인것이 유감입니다. 일전에 그리스도교 이야기를 다룰시 댓글로 요청분 있어서 두서없이 몇자 적었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읍니다. 요청하신 도교는 시간나는데로 올리겠읍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이전글Wonderful Chill Out Music -- Vangelis - Ask The Mountains [HD] 11.02.26
- 다음글- 삼일절 - 11.0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