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카트레일 1부:쿠스코 고소 적응 : 2016-07-09 > 예전 산행 갤러리 복구

본문 바로가기

예전 산행 갤러리 복구

잉카트레일 1부:쿠스코 고소 적응 : 2016-07-09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초모랑마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1-11-30 00:00

본문

안녕하셨습니까?


저희 13명의 대원들, 모두 무사히 건강하게 잉카트레일을 마추고 집에 도착하였습니다. 돌아와 보니 너무 재미있고 즐겁게 여행을 하였는, 그것은 13명의 대원 모두 한마음으로 움직였고, 서로를 보살피며 격려와 배려로 생활을 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이자리를 빌어 13 명 대원 모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가 보낸 일정을 먼저 살펴 보면, 엘에이를 일요일(6/26) 낮에 떠나 다음날인 월요일 새벽 페루의 수도인 리마에 도착, 아침에 바로 다시 쿠스코행 비행기를 타고 점심지나 쿠스코에 도착했습니다. 

쿠스코에서 3박 4일간의 고소적응을 끝내고 목요일(6/30)에 잉카 트레일을 시작 하여 7월 3일 마추픽추에 도착하는 잉카 트레일을 끝냈습니다. 

대원은, 일요일을 지나 월요일(7/4) 바로 엘에이로 돌아온 팀과, 또 페루 북쪽의 이퀴토스 라는 도시로 날아가서, 아마존 강의 근원에서 아마존 정글의 맛을 보고온(7/7) 2 팀으로 나뉘었습니다.


산행 겔러리는 3부에 걸쳐 게시될 예정입니다. 

1부: 쿠스코 고소 적응

2부: 잉카트레일

3부: 마추픽추



쿠스코 제 1일

쿠스코는 잉카의 수도로서, 잉카 제국왕이 살던 궁전과 성전이 있었던 곳이었지만, 1500년대 스페인 침략자들이 처들어와, 왕과 국민을 죽였고, 궁전과 성전을 모두 파괘하여 그 성벽위에 자신들의 서양식의 교회와 건물을 지었습니다. 지금도 그 당시 잉카의 건물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쿠스코는 해발 12,000 피트에 위치한 도시로서, 샌 골고니오 보다 더 높은 지역에 위치한 도시입니다. 이곳에서 4일 있는동안 고소로 인한 증세로 몇분이 고통을 호소 하였고, 모든 대원들이 두통과 가벼운 몸살기운 증세가 있었습니다. 4일 있는 동안 고소를 적응 하였고 건강을 회복하였지만, 몇분은 잉카트레일 중 고소로 고생하기도 하였습니다.


L1130357.JPG

리마 공항에서 제회한 이세영 선배 부부, 어찌나 반갑던지.. 부등켜 안았습니다.

L1130358.JPG


L1130359.JPG

이제 저 비행기를 타고 떠납니다.

L1130365.JPG

하늘에서 본 쿠스코 인터네셔날 공항. 말이 인터네셔날이지. 고작 비행기 4대 정도 세울수 있는 자그만한 공항입니다.

L1130366.JPG

웰컴투 쿠스코!

L1130378.JPG

미리 와 계신 7명의 대원과 재회. 

점심때 도착한 대원과 함께 호텔에서 또 다시 만남의 반가움에 얼싸안았습니다. 

L1130379.JPG

저녁 식사를 가는 도중에 만난 12각 으로 자른 성벽돌. 잉카인들이 만든 이 각진돌들은 마치 퍼즐 조각 처럼 딱딱 맞아서 돌사이에 빈틈이 없습니다. 쿠스코 중심지인 아르마스 플라자에 있는 성당들이 이 돌위에 지여졌습니다. 그 전에는 분명히 아름다운 건물이 있었을텐데 스페인 침략자들이 건물을 부수고, 돌들은 어떻게 할수 없어 이 돌위에 지은것입니다.

L1130380.JPG

돌을 보며 감탄하는 우리들...


L1130381.JPG

첫날 다 같이 하는 식사. 

페루 여러곳을 다녔지만, 모두다 음식이 너무 맛있고, 좋았습니다.

L1130383.JPG


L1130384.JPG

와인도 원샷! 머리에 확인 샷까지..

L1130385.JPG


L1130386.JPG


L1130388.JPG

너무 맛있고 즐거운 저녁이였습니다. 타지에서 다른 시간에 도착하여 다시 만나는-재회의 반가움에 모두들 해피해피..

L1130389.JPG

쿠스코의 밤거리를 배회하면서 고소 적응하고 있습니다.


쿠스코 제 2일


L1130396.JPG

자연적인 모습을 간직하고 다른 면을 인위적으로 자른 돌이 희한하게 어우러 지고 있습니다. 

L1130397.JPG

쿠스코의 중앙, 아르마스 플라자 (Plaza De Armas)

L1130398.JPG


L1130399.JPG

왼쪽에 보이는것이 쿠스코 대 성당 (Catedral del Cuzco) 카톨릭이 세운 성당, 중앙에 있는것이 예수협회 교회(Iglesia De La Compañía De Jesús) 제수잇이 세운 교회 입니다.

L1130400.JPG


L1130403.JPG


L1130406.JPG

아르마스 플라자 옆에서 쇼핑을 즐기는 대원들

L1130418.JPG

시내관광버스에 올라 탔습니다.

L1130420.JPG

싹사이와만(Saksaywaman) 성벽을 둘러 보고

L1130421.JPG

저 돌들도 수십, 수백톤이 넘습니다. 저런 큰돌을 레이져를 사용 한듯 반듯하게, 또는 곡선으로 위, 아래 양옆에 돌과 맞추어 잘라내서 조각을 맞춘 모습이 경이롭습니다.

L1130422.JPG

쿠스코 시내 전경

L1130424.JPG

잉카 마을에서 행하는 제사

L1130425.JPG


L1130427.JPG

코카잎을 3장 받아 기원을 하고는 땅에 묻습니다. 소원을 이루게 하소서...

L1130428.JPG

그들의 자스민 향수는 악마를 쫓고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합니다.

L1130437.JPG

버스앞에서.

L1130442.JPG

잉카인, 알파카 모델과 함께L1130449.JPG


L1130456.JPG

시내관광 버스앞에서.

L1130473.JPG

시내 관광을 끝내고, 정후영, 김영숙 대원을 식당에서 만나기로  하였습니다. 

드디어 모든 대원의 재회, 또다시 얼싸안고 부등켰습니다.  

쿠스코에서 제일 맛있는 샌드위치를 만든다는 카페모레나. 정말 맛있었습니다.

L1130478.JPG

쿠스코 시내의 빌딩 벽들.

L1130480.JPG

그 옛날에 이렇게 정교하고 아름답게 자를수가 있을까? 그들은 1500년대 까지 청동기 시대를 살고 있었다고 하는데... 

L1130481.JPG


L1130482.JPG

그저 경이로울 뿐입니다. 

L1130483.JPG

마추픽추가 기대 됩니다.

L1130484.JPG

드디어 오후 6시. 호텔에서 잉카트레일 브리핑이 있습니다. 

같이할 대표 가이드 "후베날" (편하게 "후베"라고 부릅니다)과 그의 딸. 장차 최고의 여자 잉카트레일 가이드가 꿈이라고 합니다.

L1130487.JPG


L1130488.JPG

잉카트레일에 관한 사항을 열심히 경청하는 우리들.

L1130492.JPG

브리핑후 또 다시 만찬. 이곳은 쿠스코에서 꼭 가봐야 한다는 최고의 식당 씨치올리나.

L1130494.JPG


L1130495.JPG


L1130497.JPG


L1130498.JPG


L1130499.JPG


L1130500.JPG


L1130501.JPG


L1130502.JPG


L1130505.JPG

나오는 음식마다 맛과 모양이 예술이었고, 우리는 너무 즐겁고 행복했습니다.

L1130511.JPG


L1130512.JPG


L1130513.JPG


L1130517.JPG

맛있고 흥겨운 식사를 끝내고 호텔로 돌아가는 길에,

길거리에서 만난 악사의 음악에 모든 대원들은 즉석에서 춤을 추었습니다. 

쿠스코 밤거리는 우리의 춤시위로 흥겨워 졌습니다.  

L1130519.JPG

지나가던 사람 모두 흥겨운 우리를 보며 같이 즐거워 했습니다.

L1130522.JPG


L1130526.JPG

호텔앞에 계단에서 13명의 대원들이 포즈를 취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였습니다. 내일을 기대 하면서 쿠스코 만세! 한미 만세!


쿠스코 제 3일

신성한 계곡 (Sacred Valley) 투어. 


L1130534.JPG

잉카트레일을 맡아준 회사에서 제공한 신성한 벨리 투어 버스. 잉카트레일 대표 가이드 후베 가 같이 하였습니다.

L1130536.JPG

산아래 보이는 작은 잉카의 도시들. 아직도 그들은 예전의 방식대로 농사를 짓고 살고 있다고 합니다.

L1130538.JPG


L1130540.JPG

잉카인들의 삶에 대하여 설명에 경청하고 있는 우리들.

L1130543.JPG

곳곳에 보이는 안데스 산맥의 높은 산 봉우리들. 만년설로 항상 이 잉카제국의 물줄기가 되어 생명을 보전해 왔습니다. 

L1130555.JPG

잉카 도시 피샄

L1130556.JPG

워낙 고산이라 계단식으로 축대를 쌓고, 농사를 했습니다. 층층 마다(고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곡식을 농사 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곳은 농사 샘플 테스트장일 것이라는 추축을 하게 한답니다. 만년설에서 녹아 내리는 물이 항상 이곳을 촉촉히 적셔 주고 있기에 언제든지 농사를 지을수 있었다고 합니다.

L1130560.JPG


L1130561.JPG


L1130562.JPG

곡간

L1130564.JPG


L1130566.JPG


L1130567.JPG


L1130568.JPG

어디를 가도 이렇게 칼로 자른듯한 돌로 세운 벽이 있습니다. 계속되는 경이로움에 입을 못 다물고 있습니다.

L1130570.JPG


L1130573.JPG

양을 보따리에 넣고는 매고 다닌답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높은 산길에 양이 너무 늦게 걷거나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L1130574.JPG

피샄 시장에서 장을보고 있습니다.

L1130575.JPG


L1130579.JPG

올랸타이탐보에 도착. 우리를 맞이하는 랴마..

L1130581.JPG

랴마 이쁜이 

L1130582.JPG

태양의 신전으로 올라 갑니다.

L1130589.JPG

마침 오늘이 1년에 한번 있는 드라마 축제. 옛 방식으로 잉카의 연극을 한답니다.

L1130591.JPG

층계로 된 농지를 무대 삼아 연기자들이 연기를 하고 있습니다.

L1130593.JPG

6개의 거대 석상. 석상은 하나가 30톤이 훨씬 넘는다고 합니다. 어떻게 갖고 왔는지도 의문이고, 돌을 저렇게 정교하게 자른것도 의문이고, 그 돌과 돌사이에 꽉 맟추어 끼어넣은 사잇돌을 만든것도 경이롭습니다.

L1130594.JPG


L1130596.JPG

강철을 갖지 않았던 이들이 어떻게 단단한 화강암을 절단하고 조각하였을까 ?

L1130599.JPG


L1130600.JPG


L1130605.JPG

다시 내려가는 길에 사진 한방 !

L1130608.JPG

돌벽을 보면 볼수록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L1130609.JPG


L1130610.JPG

연극 축제를 보러온 잉카 학생들.

L1130612.JPG

아래로 보이는 올랸타이탐보 마을.

L1130616.JPG

점심 식사를 합니다. 

L1130618.JPG

페루 전통음식으로...

L1130622.JPG

평범한 여느 집의 문. 여기도 같은돌이 사용되었습니다.

L1130623.JPG

올랸타이탐보 광장에 도착. 다들 광장에 빨려 들어 갑니다.

L1130629.JPG

우리앞에서 재롱을 부리는 아이들. 

L1130630.JPG


L1130643.JPG

쿠스코의 마지막 저녁. 치차 라는 페루 전통식당에서 13명의 모든 대원들이 쿠스코에서의 마지막 만찬을 즐기고 있습니다.

L1130644.JPG


L1130646.JPG


L1130647.JPG


L1130648.JPG


L1130650.JPG

하지만 3일차 고소의 증세가 보였는지 식사 도중에 몇분은 불편하다며 호텔로 가셨습니다. 


L1130651.JPG

쿠스코의 마지막 밤거리를 배회하고 있습니다.


자, 이제 내일이면 잉카 트레일을 시작 합니다. 3박 4일간의 백패킹의 여정을 떠나게 됩니다. 모든 대원이 무사히 건강하게 마칠수 있도록 기원합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권중건님의 댓글

권중건 작성일

<p>여행중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은 분, <span style="line-height:1.5;">여행을 알차게 하고싶은 분은 박종석 총무님뒤에 줄을 서세요.</span></p>
<p><span style="line-height:1.5;">덕분에 아주아주 즐거웠습니다.</span></p>
<p><span style="line-height:1.5;">쑬빠이끼.</span></p>

profile_image

Gom님의 댓글

Gom 작성일

<p>참 부러운 여행!!!!</p>
<p>일 마치고 보려니 멋진 음식덕에 엄청 허기지네요...</p>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Copyright © 한미 산악회. All rights reserved.